맨위로가기

르노 SM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노 SM6는 르노코리아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중형 세단이다. 2016년 3월에 1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대한민국 시장을 위해 르노 탈리스만을 기반으로 파워트레인, 인테리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차별화하여 개발되었다. 2020년 7월에는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SM6가 출시되었으며, 무빙 턴시그널과 MATRIX 헤드램프 등이 적용되었다. 2024년 11월 1일까지 판매되었으며, 현재 차세대 모델이 개발 중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노코리아 - 르노 아르카나
    르노 아르카나는 2018년 컨셉트 모델 공개 후 러시아를 시작으로 여러 지역에서 판매되는 준중형 쿠페형 SUV로,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은 시장에 따라 다르며 대한민국에서는 르노코리아 XM3로 판매되다 2024년 차명이 통합되었다.
  • 르노코리아 - 폴스타 4
    폴스타 4는 지리 자동차 SEA 플랫폼 기반의 D세그먼트 크로스오버 SUV 쿠페형 전기차로, 뒷유리가 없는 독특한 디자인과 스포츠웨어에서 영감을 받은 인테리어가 특징이며, 2025년부터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위탁 생산될 예정이다.
  • 르노코리아의 차종 - 르노코리아 QM6
    르노코리아 QM6는 르노코리아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중형 SUV로, 2016년 대한민국에서 처음 출시되어 디젤, 가솔린, LPG 엔진 모델이 추가되었고, 2019년에는 SUV 최초로 LPG 모델이, 2023년에는 2인승 밴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2024년 4월 르노 QM6로 차명이 변경되었다.
  • 르노코리아의 차종 - 삼성 야무진 SV110
    1998년 11월에 출시된 삼성 야무진 SV110은 닛산 아틀라스 100을 기반으로 닛산 TD27 엔진을 탑재하고 에어컨과 케이블 파킹 브레이크를 기본 장착한 삼성상용차의 1톤 트럭이었으나, 프레임 강성 부족과 인지도 부족으로 2000년 11월에 단종되었다.
  • 2016년 도입된 자동차 - 애스턴 마틴 DB11
    애스턴 마틴 DB11은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애스턴 마틴의 그랜드 투어러 스포츠카이며, DB9의 후속 모델로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V12 및 V8 엔진을 탑재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16년 도입된 자동차 - 포르쉐 파나메라
    포르쉐 파나메라는 멕시코 카레라 파나메리카나 레이스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포르쉐의 4도어 고성능 스포츠 세단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고급 편의 시설을 제공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사륜구동 시스템, 그리고 여러 특별판 모델을 통해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켜 왔고, 2024년에는 3세대 모델이 출시되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강화하고 새로운 엔진과 편의 장비를 탑재했다.
르노 SM6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르노 SM6 전면
르노 SM6
차종중형차
제조사르노코리아
별칭르노 탈리스만
생산 년도2016년 ~ 2024년
조립 공장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선행 차량르노삼성 SM5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전륜구동
엔진
변속기
종류듀얼 클러치 자동 6단
듀얼 클러치 자동 7단
CVT
크기
연료 및 관련 정보
연료가솔린(2016년~2024년)
디젤(2016년~2019년)
LPG(2017년~2024년)
관련 차량르노 탈리스만
르노 QM6
설계자Alexis Martot

2. 1세대 (LFD)

SM6의 1세대 모델(코드명 LFD)은 2016년 3월 1일부터 2024년 11월 1일까지 생산되었다. 르노탈리스만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대한민국 시장의 특성과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여 파워트레인, 인테리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여러 부분에서 차별화를 두었다.

초기 모델은 2016년 3월 1일 출시되었으며, 당시 대한민국 중형차 최초로 풀 LED 헤드 램프,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을 적용하고,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주행 감각과 실내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시스템, 8.7인치 세로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S-Link 시스템 등을 선보이며 고급스러움과 편의성을 강조했다. 출시 이후 경제성을 높인 1.5ℓ 디젤 엔진 모델과 LPG 모델이 추가되었다.

2020년 7월 15일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SM6'가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을 다듬고, 동급 최초로 매트릭스 LED 헤드램프와 다이내믹 턴 시그널(무빙 턴 시그널)을 적용하는 등 상품성을 개선했다. 하지만 초기 모델부터 지적받았던 후륜 토션빔 서스펜션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어 승차감 논란은 계속되었다.[1] 더 뉴 SM6는 택시 모델을 출시하지 않았으며,[2] 유럽 시장에서 형제 차종인 르노 탈리스만이 단종된 이후에도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판매를 이어가다 2024년 단종되었다.

2. 1. SM6 (2016년 3월 ~ 2020년 7월 14일)

르노삼성 SM6 정측면


르노삼성 SM6 후측면


르노삼성 SM6 실내


2016년 3월 1일 정식 출시에 앞서 2016년 1월 13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언론에 처음 공개되었다. SM6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취향과 도로 환경을 반영하여 기반 모델인 탈리스만과 차별화되는 파워트레인, 인테리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운전의 재미를 높이는 멀티 센스 시스템이 적용되어 스티어링 답력, 엔진 및 트랜스미션 응답성 등 주행 감각뿐만 아니라 엔진 사운드, 실내 라이팅, 시트 마사지 기능 등 감성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쳐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특성과 분위기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운전자별 프로파일 설정, 5가지 색상의 앰비언트 라이팅, 8.7인치 S-Link 시스템 등이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적용되었고, 풀 LED 헤드 램프, 19인치 알루미늄 휠, 헤드 업 디스플레이 등은 중형차 최초로 적용되어 편의성과 고급감을 높였다.

같은 해 8월 1일에는 QM3와 SM3에 장착되던 유로 6 배기 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1.5ℓ 디젤 엔진 모델이 추가되었다. 이 모델은 1ℓ의 연료로 17.0km(16/17인치 휠 장착 사양 복합 연비 기준)를 주행할 수 있는 높은 연비와, 배기량이 1,461cc로 소형차 세금 기준에 해당되는 이점을 통해 경제성을 내세웠다.

2017년에는 애머시스트 블랙 색상이 추가되었고, 2018년에는 브로드 레드 색상이 추가되었다. 동시에 2.0ℓ 가솔린 엔진 라인업에 기존 SM5의 2.0리터 엔진을 가져온 프라임 트림이 추가되었다.

2019년에는 1.5ℓ 디젤 모델의 생산이 중단되었다. 같은 해 4월, 정부 차원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LPG 승용차의 일반인 판매가 전면 허용되자, SM7과 더불어 SM5의 2.0ℓ LPG 엔진을 이용한 LPG 모델의 일반 판매를 시작했다.

2. 2. 더 뉴 SM6 (2020년 7월 15일 ~ 2024년 11월 1일)

르노 더 뉴 SM6 정측면


르노 더 뉴 SM6 후측면


2020년 7월 15일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기존 PE 트림이 삭제되고 SE Plus 트림이 새로 추가되었으며, 동급 최초로 움직이는 방향지시등(무빙 턴시그널)과 매트릭스(MATRIX) 헤드램프 기술이 적용되었다. 더 뉴 SM6는 르노코리아(출시 당시 르노삼성자동차)가 주도하여 개발한 차량으로, 대한민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외관과 실내 디자인, 고급 사양 등은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이전 모델에서 승차감 문제로 지적받았던 AM 링크는 삭제되었음에도 여전히 후륜 서스펜션으로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하여 승차감 개선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

르노코리아는 더 뉴 SM6의 택시 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2] 이에 따라 별도의 택시 전용 트림이 없는 QM6 2.0 LPG 모델이 사실상 SM6 LPG 택시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르노코리아 역시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QM6 2.0 LPG 모델을 구매하는 개인택시 사업자에게 별도의 구매 혜택(프로모션)을 제공하기도 했다.

2022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시장에서 형제 차종인 르노 탈리스만이 단종된 이후에도,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계속 판매되고 있다.

3. 2세대 (르노 오로라 2)

르노 SM6의 후속 모델로 르노 오로라 2가 개발 중이다.

4. 역대 슬로건

'''SM6 (1세대)'''


  • 프리미엄 세단의 새로운 기준
  • Beyond Driving|비욘드 드라이빙eng
  • 조금 다른 특별함
  • 모든 것을 넘어선 아름다움


'''더 뉴 SM6 (페이스리프트)'''

  • 새로운 심장, 새로운 SM6
  • Feel the Drive|필 더 드라이브eng
  • 탈수록 매력적인 중형 세단

5. 제원

각 모델별 상세 제원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 SM6 (2016년 3월 ~ 2020년 7월 14일)
  • 더 뉴 SM6 (2020년 7월 15일 ~ 2024년 11월 1일)

5. 1. 더 뉴 SM6 (2020년 7월 15일 ~ 2024년 11월 1일)



2020년 7월 15일에 출시되었다. 기존 PE 트림이 삭제되고 SE Plus 트림이 신설되었으며, 동급 최초로 무빙 턴시그널과 MATRIX 헤드램프를 적용하였다. SM6는 르노 본사가 아닌 르노코리아(당시 르노삼성)가 주도하여 개발한 차량으로, 대한민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한국 소비자들의 선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외관과 실내 디자인, 고급 옵션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이전 모델에서 비판받았던 AM 링크가 삭제되었음에도 후륜 서스펜션으로 토션빔 서스펜션을 계속 사용하여 중형 세단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승차감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지적을 받았다.[1]

르노코리아는 더 뉴 SM6의 택시 사양을 출시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2] 이에 따라 별도의 택시 전용 트림 없이 LPG 모델이 판매되는 QM6 2.0 DOHC LPG 모델이 사실상 SM6 LPG 택시의 역할을 대체하게 되었다. 르노코리아 역시 이를 인지하고 QM6 2.0 DOHC LPG 모델을 구매하는 개인택시 사업자에게 프로모션을 제공하기도 했다.

2022년 프랑스 등 유럽 국가에서 기반 모델인 르노 탈리스만이 단종된 이후에도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계속 판매되고 있다.

구분1.3ℓ TCE1.8ℓ TCE2.0ℓ LPE
전장
(mm)
4,850
전폭
(mm)
1,870
전고
(mm)
1,460
축거
(mm)
2,810
윤거
(전, mm)
1,615
윤거
(후, mm)
1,610
승차 정원5명
변속기듀얼 클러치 자동 7단듀얼 클러치 자동 7단CVT
서스펜션
(전/후)
맥퍼슨 스트럿/토션 빔
구동 형식전륜 구동
엔진 형식H5HM5PM4RN
연료가솔린LPG
배기량
(cc)
1,3321,7981,998
최고 출력
(ps/rpm)
156/5,500225/5,600140/6,000
최대 토크
(kg*m/rpm)
26.5/2,250~3,50030.6/2,000~4,80019.7/4,800
연료 탱크 용량
(ℓ)
5175
요소수 탱크 용량
(ℓ)
-
공차 중량
(kg)
1,445(17인치 휠)/
1,460(18인치 휠)/
1,470(19인치 휠)
1,505(18인치 휠)/
1,510(19인치 휠)
1,420(17인치 휠)/
1,445(18인치 휠)
연비
(km/ℓ)
도심 12.0/고속 15.8/복합 13.6(17인치 휠)/
도심 11.8/고속 15.3/복합 13.3(18인치 휠)/
도심 11.6/고속 14.9/복합 13.0(19인치 휠)
도심 10.2/고속 13.6/복합 11.6(18인치 휠)/
도심 10.1/고속 13.5/복합 11.5(19인치 휠)
도심 8.7/고속 11.4/복합 9.8(17인치 휠)/
도심 8.4/고속 11.0/복합 9.5(18인치 휠)
Co2 배출량
(g/km)
123(17인치 휠)/
126(18인치 휠)/
129(19인치 휠)
146(18인치 휠)/
148(19인치 휠)
133(17인치 휠)/
138(18인치 휠)


5. 2. SM6 (2016년 3월 ~ 2020년 7월 14일)

(CVT: 프라임 트림)CVT서스펜션 (전/후)맥퍼슨 스트럿/토션 빔(어댑티브 모션 링크)구동 형식전륜 구동엔진 형식K9KM5MM5R
(M4RK: 프라임 트림)M4RN연료디젤가솔린LPG배기량 (cc)1,4611,6181,997
(1,998: 프라임 트림)1,998최고 출력 (ps/rpm)110/4,000190/5,750150/5,800
(140/6,000: 프라임 트림)140/6,000최대 토크 (kg*m/rpm)25.5/1,75026.5/2,50020.6/4,400
(19.7/4,800: 프라임 트림)19.7/3,700연료 탱크 용량 (ℓ)5175요소수 탱크 용량 (ℓ)-공차 중량 (kg)1,420(16/17인치 휠)/
1,460(18/19인치 휠)1,420(17인치 휠)/
1,435(18/19인치 휠)1,405(16/17인치 휠)/
1,420(18/19인치 휠)
(1,420(16/17인치 휠)/
1,465(18인치 휠): 프라임 트림)1,420(16/17인치 휠)/
1,470(18인치 휠)연비 (km/ℓ)도심 15.8/고속 18.6/복합 17.0(16/17인치 휠)/
도심 15.2/고속 18.2/복합 16.4(18/19인치 휠)도심 11.5/고속 14.7/복합 12.8(17인치 휠)/
도심 11.0/고속 14.1/복합 12.3(18/19인치 휠)도심 10.8/고속 14.8/복합 12.3(16/17인치 휠)/
도심 10.5/고속 14.4/복합 12.0(18/19인치 휠)
(도심 10.2/고속 13.1/복합 11.4(16/17인치 휠)/
도심 9.9/고속 12.8/복합 11.1(18인치 휠): 프라임 트림)도심 8.2/고속 11.0/복합 9.3(16/17인치 휠)/
도심 7.9/고속 10.8/복합 9.0(18인치 휠)CO₂ 배출량 (g/km)109(16/17인치 휠)/
113(18/19인치 휠)131(17인치 휠)/
137(18/19인치 휠)137(16/17인치 휠)/
141(18/19인치 휠)
(149(16/17인치 휠)/
154(18인치 휠): 프라임 트림)141(16/17인치 휠)/
146(18인치 휠)


참조

[1] 뉴스 "이거 농담 아니라 진짜입니다” 현대기아차 싫어서 르쌍쉐 사는게 정말 바보같은 짓인 이유 https://autopostkore[...] 2021-08-15
[2] 웹사이트 르노코리아, "신형 SM6 택시 출시 안해" http://autotimes.han[...] 오토타임즈 2021-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